예산규모 2.5배 증가..남해안선벨트로 제2의 중흥을
예산규모 2.5배 증가..남해안선벨트로 제2의 중흥을
  • 최인철
  • 승인 2009.01.21 18:39
  • 호수 29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년전과 향후 10년, 21세기 광양시의 위상 진단

20세기의 마지막 해인 1999년, 포스코 광양제철소 입지가 결정된 지 18년이 지난해이자 광양항이 개장되면서 광양시로써는 동북아물류허브도시의 기틀을 다지게 된 전환기적 시기다. 이른 바 광양시의 슬로건이 된 철강과 항만을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도시시대를 활짝 연 뜻 깊은 해이다. 또 1995년 시작된 지방자치시대 5년째 접어든 시기다. 지방화시대에 지역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자치단체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된 시기이기도 하다. 그로부터 10년이 흘렀다. 2009년을 맞아 그동안 광양시 도시발전의 역사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지역사회가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광양항 물동량 저조 여전한 숙제...물량 창출형 기업유치 관건

광양제철소 입지가 결정된 해인 81년 인구 7만 8천478명의 조용한 농어촌지역이었던 광양. 그러나 광양제철소의 제1기 종합준공(87년 5월 7일)과 제2기 종합준공(88년 7월12일), 제3기 종합준공(90년 12월4일)에 이어 지난94년 10월 2일 제4기 준공으로 인구와 자본이 집중되면서 광양은 급속한 공업화의 조류를 탄다. 또 87년에 건설을 시작한 컨테이너부두 1단계가 98년 7월에 준공돼 부산항과 더불어 국내 양항정책의 시대를 예고하는 항만도시로 급부상했다. 20세기 말은 광양시는 철강과 항만을 양대 성장축으로 개발의 유발효과를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SOC 시설확충과 택지개발, 아파트 공급 등 인프라 구축을 본격적으로 추진, 도시화를 가져온 급변의 시기였다.

《산업/경제 부문》

1999년 광양시는 광양항 활성화와 배후부지 개발에 시정의 초점을 맞추었다. 제1회 광양항 국제포럼을 개최해 광양항의 출발을 대내외에 알리는 한편 유럽과 미국, 중국, 일본의 주요항만을 대상으로 한 5개 항만관련기관 합동 포트 세일즈를 전개했다. 이후 컨부두 2단계와 3-1단계가 순조롭게 개장됐다.

이 시기 주목해야 할 점이 있다. 광양항을 비롯한 광양시를 포함한 광양만권 일원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것이다. 또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 국가 실현을 위한 거점 육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될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유치에도 성공했다. 이는 한국컨테이너부두관리공단의 광양이전과 함께 광양항 활성화의 주요 기폭제가 될 수 있는 성장의 뇌관을 광양시가 동반자로 영입한 것이나 다름없다.

그러나 위기는 늘 있게 마련. 2006년 전국 무역항 기본계획의 수정에 따라 물량증가 없이는 상부공사를 준공할 수 없다는 물동량 연계방식 즉, 트리거 룰이 적용됐다. 광양항 활성화에 발목을 잡는 위기가 닥친 셈이다. 당초 정부는 2011년까지 광양항에 24선석, 율촌에 9선석, 모두 33선석을 개발해 세계적인 항만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부산신항과 인천항, 평택?당진항 등 항만의 추가 건설로 인해 항만개발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이런 점은 물동량 처리에 곧바로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은 컨공단과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그리고 광양시가 안게 된 공동의 숙제가 되고 있다. 광양항은 2000년 66만5천TEU, 2001년 87만1천TEU, 2006년 175만7천TEU로 20%의 성장세를 유지했으나 2007년 170만6천TEU를 처리한데 이어 개장 10주년인 지난해 180만9천TEU를 처리하는데 그치는 둔화현상을 빚고 있다.

3개 기관 모두 물동량 창출에 혼신의 힘을 기울이고 있지만 세계적인 경제불황의 여파는 고스란히 광양항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결국 근본적인 타개책은 자체 물동량 창출에 있다는 게 항만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런 상황에서 월드마린센터, 황금 물류센터 건설, 냉동?냉장시설과 화물차 휴게소, 선원회관 등 항만물류 지원시설도 확충된 점은 다행이다. 특히 중마 일반부두가 준공되고 동측배후부지에 국제석재 가공물류센터 등 25개 물류기업의 입주가 이어지면서 자체 물동량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속속 조성돼 자체 물동량 창출에 대한 기대가 아주 어둡지 많은 않다. 남은 숙제는 배후물류단지에 물류창출형 기업들을 어떻게 유치하느냐에 달려 있다.

광양항에 비해 광양시 투자유치는 계속 이어져 도시발전을 견인하고 있다. 포스코 후판공장과 SNNC 페로니켈 공장, 삼우중공업을 비롯한 5개 조선소와 연관업체 등 민선 3기부터 모두 217개 업체를 유치해 1조8천억원 투자와 1만4천82명의 고용창출을 실현했다.

이밖에 산업단지 12개 지역 1천525만㎡가 조성됨에 따라 시는 인구유입이 급격히 늘 것으로 보고 택지 10개 지역 863만㎡를 조성하고 8개 지역에 아파트 8천713세대를 건설하는 등 능동적인 대처를 하고 있다.

그러나 도농 통합이전 양 시군이 각기 따로 시행해 온 개발정책으로 인해 누적된 문제점은 시급히 해결해야할 문제다. 더구나 신도시의 특성상 많은 투자사업비가 소요될 상황에서 뜻하지 않는 IMF와 같은 글로벌 경제위기를 만나 도시발전이 기대만큼 가속화되지 못한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광양시 관계자는 “어려운 경제상황에도 광양은 철강과 항만이란 탄탄한 동력을 바탕으로 남해안 선벨트 남중경제권의 중심도시이자 동북아 자유무역도시로 제2의 경제 부흥기를 예고하고 있다”며 “향후 새로운 10년을 대비한다는 전략적인 차원에서 올해를 글로벌 명품도시 원년으로 선포하고 새로운 비상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환경개선분야》

최근 광양시가 최우선적으로 추진한 사업 중 하나가 바로 교육환경개선사업이다. 교육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인구유입 등 모든 현안문제해결에 제동이 걸린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지난 1990년대, 교육부문에 대한 광양시의 비중이 크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도서관 운영 이외 특별한 지원시책이 없었고 교육청 등 교육기관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짙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지역 중학생 유출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그러나 광양시는 2002년을 기점으로 교육을 최우선 정책으로 꼽고 시정 전면에 내세웠다. 전국 최초로 ‘교육환경개선 지원조례’를 제정해 연간 20억원이라는 당시로서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다. 지난해까지 6년간 432억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는 과감한 교육정책을 펼쳤다.

이 같은 교육정책의 결과는 오래되지 않아 성과로 나타났다. 올해년도 대학입학에서 서울대 수시 최종합격자가 7명에 이르고 서울대 정시 지원가능 학생도 17명이나 돼 탁월한 성과를 거뒀다. 또 순천지역 고교평준화에 따른 여파를 무시할 순 없으나 이 같은 교육정책에 힘입어 심각했던 우수 중학생 역외유출은 눈에 띠게 줄어들었다.

광양시에 따르면 10%이내 성적 우수 중학생의 관내 고교 진학률이 2008학년도 64.3%인 148명에 그친데 비해 금년에는 7.7% 증가한 72%로 모두 177명의 학생들이 진학, 해가 갈수록 관내 고등학교 진학률은 높아가고 있다. 교육정책의 또 다른 핵심 축은 바로 1991년도에 설립된 백운장학회다. 백운장학금은 200억원 조성을 목표로 현재까지 81억5천만원이 조성됐다. 지난 92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1천853명에게 21억4천만원을 지급해 인근 자치단체보다 월등히 많은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올해에는 연간 6천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서울대 진학생 4년간 등록금 전액지원’을 추진하고 장학금 수혜대상자를 관내고교 졸업자로 제한해 향후 관내 고교 진학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광양시 관계자는 “교육부분의 이같은 성과는 지난 2005년 인근 지역 고교 평준화로 인한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인재육성이 지역발전의 원동력이라는 광양시의 의지가 빛을 발한 것을 풀이된다”며 “지속적인 교육환경개선사업투자로 명문교육도시로 발돋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