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암사 선(禪)으로 걸어가는 길
선암사 선(禪)으로 걸어가는 길
  • 최인철
  • 승인 2010.01.21 09:37
  • 호수 3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우소에 앉아 버림의 미학을 배우다


매표소를 지나면 바투, 세상과의 경계가 확연해진다. 길에 접어든 사람이면 누구나 애써 세상을 물리지 않았으나 세상이 스스로 물러난 듯, 세간의 뜻이 벌써부터 저만큼 멀어지고 있음을 목도할 수 있으리라. 하여, 수 백 년 졸참나무와 갈참나무가 하늘 숲을 이루고 길을 안내하기 시작하면 입산하는 행자처럼 ‘선정(禪定)’ 곁불이라도 쬐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십우도(十牛圖) 인우구망(人牛俱忘)은 소도 잊고 나도 잊는다는 뜻이다. 자기 자신도 잊어버린 상태를 묘사한 ‘텅 빈 원만’이다. 정(情)을 잊고 세상의 물(物)을 버려 공(空)의 세계에 이르렀음을 나타낸 말이다. 그렇다. 태고총림 선암사 가는 길은 조용히 ‘잊음’으로 가는 길이다.

사실 선암사는 길 위에서 시작돼 길 위에서 끝난다. 길이 절집이요, 선(禪)이다. 발길에 닿는 돌멩이 하나, 나무 한 잎, 조계산이 흘려보낸 시냇물과 매미소리, 몸 없이 허공을 떠도는 바람소리에 담긴 불성(佛性)이 불현듯 흔들리는 마음을 ‘단단히’ 잡아당긴다.

선암사를 한 번이라도 가 본 이라면, 절집 보다 이 졸참나무 숲길의 부드러운 마법을 경험했을 터, 잡념도 이곳에선 내내 직무를 유기(?)할 밖에 도리가 없다. 길은 그렇게 소리도 없이 다가와서 욕심 많은 한 사내를 무장해제 시킨다.

한때 이곳에 주석한 한성 큰스님은 제자들에게 “진정한 송경은 소리가 없고, 진정으로 듣는 것은 들리는 소리가 없는 법(眞誦無響 眞聽無聞)”이라고 했다. 이렇게 모양도 소리도 없는 진정한 생명의 참모습을 잊지 말라는 말씀이다. 선암사 가는 길은 이미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로 가는 법을 깨달은 듯 말없이 한가로운 사람들을 이끌고 있었던 게다. 그렇게 선으로 가는 길이다.

길을 바투 잡아 한참을 올라가면 “못 생겨서 죄송하다”는 듯 서 있는 얼금뱅이 장승이 ‘꾸벅’ 인사를 건넨다. 못 생겨서 더 정이 가는 장승은 못 생긴 돌탑을 식구로 거느리고 있는 가장이다. 사람들이 하나 둘 올려 쌓은 조그만 돌무지에 불과하지만 장승이 품에 안는 식구는 미추가 없다. 다 보듬고 웃고 있다. 지나는 손길들이 올려놓은 돌무지는 이리저리 무너졌지만, 무너짐에 아파하는 법은 없다.

장승을 지나치면, 승선교가 나온다. 이 다리에 오르면, 선계(仙界)로 가는 길이 열리니 승선교는 속계와 선계를 이어주는 다리인 셈이다. 여전히 집착한 것들이 많아 선계에 오르지 못한 미욱한 사내에게 강선루에서 일주문에 이르는 길은 멀다.

두 번을 휘감고 돌아가 가파른 경사가 계속된다. 마침내 앉은뱅이 일주문을 지나면 범종루(梵鐘樓)가 갑자기 떡대 좋은 사내처럼 떡하니 버티고 서 있다. 그냥 서서 자나가면 호령이라도 할 모양새다. 일주문과 범종루는 일체 욕심과 잡한 것들을 물리고 가지 않으면 이르지 못할 길이다.

대웅전이나 팔상전 등 선암사 내부를 대충 훑고 지났다면, 선암사의 북동쪽으로 난 산길로 가보자. 매화숲길을 따라 1km가량 오르면 운수암에 이른다. 이곳 운수암은 북암이라고도 불리는 선암사의 대표적인 암자다. 현재는 비구니 스님들이 기거하고 있는 곳이다. 

철이 한참 이른 이야기지만 매화꽃 한창인 봄날 이 운수암 가는 길은 일체의 감각을 편안히 놓고 그저 온몸과 온몸의 감각을 내맡기고 편안하게 느끼며 천천히 걸을 수 있어야 한다. 예서부터 아이러니하게도 엇나간 본찰(本刹)로 인해 끊겼던 ‘깨달음의 길’이 다시 시작되기 때문이다.

비록 지금은 시멘트 포장길이어서 처음만은 못해도, 조계산의 본 모습을 볼 수 있는 길이 내내 계속된다. 길가에 피어있는 패랭이꽃구경도 눈을 즐겁게 할 터이지만, 조그만 샛길이어서 마음이란 놈이 함부로 나댈 수 없는 길이다. 그렇다, 이글은 선암사가 아닌 ‘길’들에 대한 이야기다. 마음 밭을 떠난 마음이란 놈을 본성의 밭으로 다시 끌고 가는 ‘길’이 선암사에 있다.


선암사를 대표하는 것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해우소다. 선암사 해우소는 3백 년이 넘은 건축물로, 선암사 정서를 모두 집약한 곳이다. 선암사에 통한 길들이 조용히 마음을 돌아보게 한다면 이 해우소는 욕심도, 선도 버리는 법을 가르친다. ‘뒷간’이라는 전라도 사투리 팻말을 붙인 이 해우소가 나근나근 ‘배설과 버림의 미학’을 가르치고 있는 탓이다.

<칼의 노래>를 쓴 소설가 김훈은 이런 선암사 해우소를 “배설의 낙원”이라고 했다.
그는 “배설 행위는 겸손해진다. 그것은 수세식 변소처럼 물로 씻어서 강물로 흘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똥으로 하여금 스스로 삭게 해서 똥의 운명을 완성시켜준다. 화장실 밑에는 나무탄 재와 짚을 넉넉히 넣어두어서, 배설물들은 이 두엄더미 속에서 삭으면서 오래된 것들의 오래된 냄새를 풍긴다. 이 냄새는 풍요하고 이 냄새는 사람을 찌르지 않는다. 똥의 모습과 똥을 처리하는 분명한 방식과 똥의 냄새는 마땅히 저러해야 하리라. 사랑이여, 쓸쓸한 세월이여, 내세에는 선암사 화장실에서 만나자”고 까지 했다.

해우소를 직역하면 ‘근심을 푸는 곳’쯤 되겠지만 실상 이 해우소는 비움을 뜻한다. ‘배설’은 버린다는 것이고 ‘버린다’는 행위가 해우의 본질이다. 일체의 집착과 욕심, 분노와 기쁨, 슬픔과 즐거움도 버려야 한다는 뜻이다. 선암사 뒷간은 바로, 해우소라는 배설의 장소와 버림, 벗어놓음의 장소가 가장 잘 어우러진 곳이다. 

까닭에 시인 정호승도 ‘눈물이 나면 이 해우소에 가서 실컷 울어보라’고 당부한다. 눈물은 인간이 지닌 배설행위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것이다. 똥과 땀과 오줌을 버리는 행위도 고귀한 것은 마찬가지겠으나 눈물의 배설은 그 보다 한참 위의 것이다. 눈물은 맑고 순수하다. 눈물은 몸의 배설이 아니라 마음이 흘리는 배설이기 때문이다. 눈물은 희노애락(喜怒哀樂)이라는 마음을 버리는 유일한 길인 셈이다. ‘풀잎들이 손수건을 꺼내 눈물을 닦아주고 새들이 가슴 속으로 날아와 종소리를 울리는’ 해우소의 풍경은 만신자비다.

그렇게 마음의 버림과 놓음의 행위를 통해 ‘한 생각 얻어가라’고 선암사는 바로 이 해우소를 가져다 놓았다. 이 해우소에 가보면 안다. 버림이라는 일이 주는 즐거움, 비우고 난 뒤 느끼는 가벼운 법열을 선암사 해우소는 가르침 없이는 단번에 깨친다. 돈오하면 돈수가 된다.

이 해우소에 앉으면, 선암사를 아름아름 거쳐 가는 사계를 모두 볼 수 있다. 막힌 듯 보이지만 밖과 통해 있다. 하여, 안이되, 밖이다. 불이(不二)다. 색이 공이고, 공이 색이라는 뜻을 완벽하게 드러낸 생활적 체현이다. 이 뒷간에는 칸마다 붙어 있는 명언조차도 “파리야 극락가자”다. 미물도 소중히 여기는 불심을 나타낸 말이지만 다시 생각하면 “개에게 불성이 있느냐”는 지독한 화두를 다시 묻는 질문이다. 사방천지 어디든 화두를 놓지 말라는 선승들의 청규가 선광을 번득여 쉽사리 마음을 내릴 수도 없는 지경이다.

앞서 말했듯 선암사 해우소의 이름은 뒷간이다. 보통 뒷간은 재래식 화장실인 탓에 민가에서도 후미진 곳에 있기 마련이지만 선암사 해우소 뒷간은 ‘배 내밀고 있는 티내듯’ 절집 가장 앞에 배치됐다. 상식을 깬 비상식의 구도는 스님들이 흔히 쓰는 선문답이나 법거량을 닮았다.

알 수 없되, 그 속에 번뜩이는 칼날이 숨어 한 바탕 전쟁을 치른다. 이 선암사 해우소의 배치는 상식의 세상과 한상 대치 중인 셈이다.
하여, 대중(大衆)에게 권하노니, 그 길에 가보라. 첫 길에서 다시 새들과 나무, 바람이 전하는 말에 귀를 열고 빈 마음을 만들어 채울 일이다.

선암사 매화 보러 갔다가/매화는 일러 피지 않고/뒤가 마려워 해우소 찾았지/똥 싸는 것도 사람의 일/별거 있느냐는 듯/마다 문짝도 없는 해우소/하얀 화장지 대신/손바닥만하게 잘라놓은 10년 지난 신문지/가즈런히 놓여 있어 들여다 보니/옛 독재자 사진이/웃으며 신문에 박혀 있는데/일을 마치고 그놈으로 밑을 닦았지/내려다보니/깊이는 또 얼마나 깊은지/까마득한 바닥에서/큰스님 큰 근심도 내 작은/걱정도 독재자의 억지 웃음도/한가지 똥이 되어/그야말로 승속이 여일한데/화장실로는 번역할 수 없는 해우소/그 깊은 뜻 깨달았지/세상에 똥 구린내가/매화향처럼 느껴지긴 난생 처음이었지
- 詩 복효근. '선암사 해우소'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