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확산 방지 행정과 방역 이원화돼야
구제역확산 방지 행정과 방역 이원화돼야
  • 박주식
  • 승인 2011.01.10 10:01
  • 호수 39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 연휴가 최대 고비…고로쇠ㆍ매화축제 염려

구제역(口蹄疫, foot-and-mouth disease)이란 바이러스에 의해 발굽이 2개인 소ㆍ돼지 등의 입ㆍ발굽 주변에 물집이 생긴 뒤 치사율이 5∼55%에 달하는 가축의 제1종 바이러스성 법정전염병이다. 소의 경우 잠복기는 3∼8일이며, 초기에 고열(40∼41℃)이 있고, 사료를 잘 먹지 않고 거품 섞인 침을 흘린다. 잘 일어서지 못하고 통증을 수반하는 급성구내염과 제관(蹄冠)ㆍ지간(趾間)에 수포가 생기면서 앓다가 죽는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고, 만일 이 병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검역을 철저히 해야 하며, 감염된 소와 접촉된 모든 소를 소각하거나 매장해야 한다. 구제역이 발생하는 나라에서는 조직배양 백신을 이용한 예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34년 처음 발생했으며, 이후 66년 만인 2000년 경기도 파주 지역에서 발생해 충청도 지역까지 확산되어 큰 피해를 입힌 적이 있다.
현재까지도 그칠 줄 모르고 확산되고 있는 이번 구제역은 지난해 11월 29일 경북 안동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이후 40일여일 만에 살처분 대상 가축 수가 100만 마리를 돌파했으며, 정부의 살처분 보상액도 1조원에 육박하는 등 그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이처럼 구제역이 진정기미를 보이지 않고 장기화 되면서 정부의 구제역 확산방지와 예방 방법에 대한 지적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우선 행정과 방역을 이원화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방역은 방역 전문 업체에 맡기고 공무원은 행정에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뜩이나 인력이 부족한데다 비전문가인 공무원이 방역의 최일선에 나서다보니 효율성을 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전문성이 없는 공무원에게 모든 것을 다 하라는 것은 결국 행정이 옛날로 돌아가 전시행정화 될 수밖에 없다”며 “예산절감과 엄무효율성을 위해 방역은 전문방역업체에, 공무원은 가축사육농가 지도 등 행정에 주력하는 업무 이원화가 돼야한다”고 주장했다.

또 최근 들어 매년 반복해서 구제역이 발생하고 있음에 따라 상시적인 대응책 마련도 필요하다. 정부가 도로관리 부서와 협의해 고속도로 IC마다 방역 소독장치를 설치하고 유사시 추가로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도 바로 방역소독을 실시토록 하고, 인력도 공무원 파견이 아닌 현장근무자가 대응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더불어 사람이 매개체역할을 함에도 차량만 소독하는 것은 효율성이 떨어지는 만큼 사람에 대한 소독작업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

정부가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백신접종 역시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백신 자체가 구제역 바이러스를 약하게 만든 구제역 균이다. 이를 접종하고 이겨낸 가축은 살아남지만 균을 보유하게 되고 이것이 전파될 수도 있다. 실제 최근 대만에선 이 같은 일이 발생해 예방접종이 구제역을 더 확산시킨 예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백신접종을 한 한우도 구제역에 걸렸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이번 구제역은 귀성객을 비롯해 인구 이동이 많은 설 연휴 기간이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또 우리지역은 고로쇠약수철을 맞아 몰려들 많은 인파도 고민이다. 이의 결과에 따라 국제적인 축제로 승격을 추진하고 있는 매화문화축제까지 여파가 미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구제역을 조기에 차단해 종결시키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지만 현재와 같은 확산추세라면 우리지역도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며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운을 기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박주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