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지역 문화탐방> 수월정(水月亭)의 전설<3>
<우리지역 문화탐방> 수월정(水月亭)의 전설<3>
  • 광양뉴스
  • 승인 2016.02.19 21:04
  • 호수 6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동래 시인ㆍ수필가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관록과 문학

 강(江)은 애초부터 여울목이 아니었다. 얕은 물결과 크게 출렁이는 너울을 동반해 바다로 도 도히 흘러가는 강물이었다. 송강의 본관(本貫)은 영일(迎日)이며 시조(始祖)는 극유(克儒)이고   조부(祖父)는 위(?)다. 그리고 부친(父親)은 유침(惟沈)으로 돈령부 판관의 벼슬을 지냈다. 형제로는 4남으로 자(滋)ㆍ소(沼)ㆍ광(滉)ㆍ철(澈)이며, 누이로는 인종후궁과 계림군 처가 있었다.

  그는 서울 장의동(지금의 종로구 청운동)에서 죽산 안씨 대사간 안팽 수의 딸인 어머니 사이에서 중종 31년(1536, 윤 12월 6일) 4남으로 태어났다. 그가 출생할 당시에는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벼슬에 나가지 못해 평범한 백성으로 살았다. 조선시대 사회 풍속은 가문과 혈통을 대단히 중요하게 생각했고 이는 신분의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신분제 사회에서는 인물을 평할 때 어느 집안의 출신 인지가와 어느 선생 밑에서 사사(師司)했는지가 상당한 의미를 지녔다.

  친족집단이 사회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시점에 놓여있는 집안일수록 더욱 그러했다. 여러 가지 여건으로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벼슬길에 나가지 못하고 있었으나 송강의 맏누이가 인종(仁宗)의 후궁의 한사람인 숙의(淑儀:내명부 종 2품 벼슬로 직무는 없으나 임금의 교명을 받들면 嬪으로 승격됨) 로 입궐하면서 관직을 제수 받게 된 것이다.

  그의 맏누이는 뒤에 귀인(貴人: 내명부 종 1품 벼슬로 정 1품인 빈의 아래)으로 승격된다. 훗날 송강이 입신출세하게 되자 부친은 영의정에, 조부는 좌찬성에, 증조는 이조판서에 추증(追贈: 종 2품 이상 벼슬아치에게 죽은 후 벼슬이나 직위를 높여주는 일) 되었다.

  그러나 집안의 자세한 기록은 찾기 어려우나 대대로 청렴결백 한 가풍을 이어왔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어머니 죽산 안씨는 효행이 으뜸이라 이름난 현모양처였다.

  송강의 유년시절인 10세 때까지 다복한 시절을 보냈다. 그것은 맏누이가 당시 세자였던 인종의 후궁-숙의였던 까닭에, 어렸을 때부터 궁중에 자주 드나들게 되었던 것이다. 더욱이 나중에 막내 누이까지 왕의 종실(8촌)인 계림군에게 출가하면서, 그의 궁중 출입은 훨씬 더 자유로워졌다. 그동안 약간 침체되었던 집안이 왕실과 혼인을 맺음으로서 활기를 찾는 것과 함께, 막내인 송강으로서는 어느 때보다도 유복한 환경에서 유년시절을 보게 된 것이다.

  그가 궁중을 출입한 것은 누이 때문이기도 하지만 사유는 인척사이인 왕자들과 어울러 노는 일에 중심을 두고 접근했던 결과이다. 그리하여 송강은 유년시절부터 자형인 동궁(東宮:세자궁)과 친교를 쌓음으로써, 주위로부터 넘치는 사랑과 기대를 받으며 지내게 된다.

  대궐을 천부(天府)로 불렀던 시절이었으니 그곳을 드나드는 일은 본인은 물론 가문의 영광으로까지 생각했던 것이다. 그리고 둘째 누이는 부제학을 지낸 최홍도(崔弘渡)에게 출가했으며, 막내 누이는 왕의 종실인 계림군 유(桂林君 瑠)에게 출가한다. 계림군은 성종의 후궁소생 왕자 가운데 한 사람인 계성군의 아들이다. 이렇게 보아 송강이 출생할 때 그 집안은 당시로서는 대단한 신분과 위세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니 집안의 분위기는 안정된 생활여건을 갖추고 있었다. 그것은 거듭된 왕실과 혼인으로 새로운 도약의 시점에 있었던 것이다.

  사대부 집안의 자식으로써 궁중의 왕자들과 함께 어울러 노는 경험을 하기 란 쉽지 않는 일임에 틀림이 없었다. 송강은 당시 세자였던 인종의 배다른 동생(異腹同生)인 경원대군(훗날 명종)과 특별히 우의가 두터웠다고 전해진다.

  그리하여 경원대군과 거처도 같이하고 장난이나 놀이도 함께 하면서 둘의 사이는 정분이 쌓였고, 나이는 송강이 2살 아래였다. 그러나 송강의 형제들은 예기치 않게 서로가 다른 삶을 살아간다. 맏형인 자(滋)는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정랑(吏曹正?)이 되지만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일찍 죽게 된다.

<다음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