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대학 살리기 나섰지만 현실은‘막막’
지역 대학 살리기 나섰지만 현실은‘막막’
  • 김양환
  • 승인 2016.10.14 21:32
  • 호수 68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책위, 대학 자구노력ㆍ지역사회 지속적 관심 필요

한려대와 광양보건대의 정상화를 돕기 위해 시민들이 대책위를 구성하고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대안을 찾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지난 13일‘광양지역 대학교 정상화 범시민대책협의회’는 회의를 갖고 현재 두 대학의 입장을 들어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으나 현실적으로 지역사회가 도울 수 없는 상황 인식에 그쳤다.

다만 대학 측이 요구한 지역 고등학생들의 신입생 지원에 대한 시 차원의 역할과 백운장학금 확대 지급에 대해서는 노력하기로 했다.

그동안 대책위는 서남대 (구)재단의 정상화방안 철회와 컨설팅에 대학 자구노력과 지역민 의견을 반영해 줄 것을 청와대, 국무총리, 교육부장관, 국회의장,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 위원에 건의문을 발송했다. 광양시의회도 교육부 건의서를 채택하는 등 지역사회가 두 대학의 정상화에 노력해 오고 있다.

또 대책위는 두 대학이 통합을 모색 등 시민이 이해하는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 대학 자체가 자구적인 노력을 해 줄 것을 대학 측에 요구했다.

이에 대해 광양보건대는 재정기여자 확보, 모금운동 등 자구책 마련에 노력하고 있고, 맞춤형 학과 운영, 지역사회 산학협력, 취업률 등 대학 경쟁력 및 자생력 강화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려대학교는 서남대(구)재단이 교육부에 제출한 정상화방안(한려대와 서남대 통합)의 처리 결과를 지켜보면서 다른 대학과의 통폐합 등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두 대학과 설립자가 같은 서남대(구)재단은 지난 6월, 한려대와 서남대를 통폐합해 서한대학교(충남 아산)로 2018년 3월 개교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한려대 보건계열학과(입학정원 220명)는 서한대로 이전하고, 그 외 학과는 폐지하며 한려대 부지 및 건물은 평생교육기관,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시설, 교육시설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을 찾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교육부는 정상화방안은 확정안이 아니며 컨설팅 등 관련 절차를 거쳐서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컨설팅 과정에서 대학구성원(교수헙의회 등), 지자체 등 의견을 수렴하고, 횡령금 보전, 임금체불 해소, E등급 탈피 마스터플랜 등 정상화 3요소를 점검한다.

한려대학교는 2013년 경영부실대학으로 지정돼 정부 재정지원을 제한 받고 있고, 광양보건대는 2013년 경영부실대학 지정, 2015년 구조개혁평가에서 E등급을 받아 국가장학금과 학자금 대출이 제한돼 있다.

광양보건대는 2015년 7월, 교육부는 8명의 임시이사를, 한려대는 2015년 10월, 7명의 임시이사를 파견했다.

한려대학교는 1995년 3월 17일 개교해, 14개 학과 80명(교수 60, 직원 20)의 교직원과 821명(정원 1842명, 44.6%)의 재학생이 있으며, 광양보건대는 1994년 3월 15일 개교해, 19개 학과 101명(교수 72, 직원 29)의 교직원과 1600명(정원 2293명, 69.8%)의 재학생이 있다.

한편 범시민대책협의회는 시장, 의장, 교육장, 상의회장, 민간상공사회단체 등 18명으로 지난 7월 구성해, 대학정상화를 위한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 지역대학 살리기 정책 방안 의견 수렴,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학교 상생방안 협의, 건의문 채택 등 여론 전달 창구  등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