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지역 초미세먼지 속 중금속 논란, 사실과 달라
광양지역 초미세먼지 속 중금속 논란, 사실과 달라
  • 김보라
  • 승인 2016.11.25 20:19
  • 호수 68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구를 위해 의도적으로 고농도의 먼지 처리, 연구논문은 철회키로

광양시는 광양지역 초미세먼지 속 중금속 논란에 관한 최근 언론보도와 대해 사실 내용과 다르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언론에서 순천향대학교 이미영 교수의 국제학술지 발표 연구논문을 인용해 광양지역 초미세먼지 속에 중금속이 다량 검출되었고, 인간 신경세포에 치명적이다고 지적한 것에 대해 이와 같이 말했다.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지침(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대기 중의 중금속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세먼지(PM-10)를 24시간 동안 시료 채취해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선진국과 우리나라에서는 PM-10, PM-2.5에 대한 대기환경기준을 마련하고 포집 시간 및 방법 등을 대기오염공정시험법에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PM-0.1에 대한 환경 기준과 표준화된 포집기술, 방법을 규정하고 있지 않아 광양시에서는 논문 저자인 순천향대학교 이미영 교수에게 확인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이미영 교수가 지난 23일 광양시에 보내 온 자료에 따르면, 논문에 제시된 시료는 장기간 모은 고농축 초미세먼지인 PM-0.1(0.1㎛이하 입자)안의 중금속 무게로 사람이 호흡하는 실제 대기질 중금속 농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또 배양세포가 사멸되는 이유를 밝히기 위해 일부러 고농도의 먼지를 처리하였던 것으로, 실제 대기 중의 중금속 농도로는 배양 세포가 사멸할 가능성이 없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생물학적 세포 사멸 연구를 위해 실제 환경적 조건과 다른 고농도 초미세먼지를 배양세포에 처리한 연구결과가 마치 실제 환경에서 사람에게 바로 발생할 가능성으로 잘못 보도된 것에 대해 더 이상 논란이 커지는 것을 원치 않아 논문을 자진 철회하기로 결정하고 그 절차를 밟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광양시에는 대기 중금속 측정망은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광양소방서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국가 유해대기물질 측정망을 통해 2014년부터 대기 중 총가스상 수은을 측정한 결과 전국 총가스상 수은 측정소 12개소 중 광양시가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또한, 2006년부터 2025년까지 국립환경과학원 주관으로 추진하고 있는 광양국가산단 주민 건강영향 조사 용역에서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납, 카드뮴, 크롬, 비소 중금속 측정 결과가 인근 여수시와 하동군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2016년 광양시 국가산단 주변 등 대기 중 중금속 현황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내년 1월까지 조사해 파악할 예정이다.


시는 또 지난 2014년 4월 2일 광주과학기술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2014년 5월부터 2017년 4월말까지 초미세먼지(PM-2.5) 유해성 평가, 저감기술 개발, 피해 저감 방안 등 연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연구결과물은 초미세먼지 저감대책 수립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박현수 환경과장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대기배출시설과 비산먼지 발생 사업장 지도점검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며 “내년 1월부터 노후경유차 조기 폐차 지원사업과 주요 도로면 분진청소 및 하절기 물 뿌리기 사업도 확대 추진해 시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