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대교 통과 유해화학물질 적재차량 이대로 괜찮은가?-백성호 광양환경운동연합 상임의장
이순신대교 통과 유해화학물질 적재차량 이대로 괜찮은가?-백성호 광양환경운동연합 상임의장
  • 광양뉴스
  • 승인 2017.12.15 18:19
  • 호수 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통방해는 기본 무질서한 운전자로 일반운전자 곤혹

여수해양엑스포 박람회장 개관과 맞물려 2012년 5월 임시개통을 시작으로 이순신대교길이 열린지 5년 반이 지났다. 이순신대교 개통을 앞두고 시민들은 대체로 이순신대교가 가져올 시너지효과에 큰 관심으로 기대에 부풀었을 것이다.

특히 영남권 관광객이 이순신대교를 통과하기 위해 광양을 거쳐야 하고, 관광객이 대거 광양에 머물 것으로 기대한 꿈은 한순간 물거품이 돼버렸다. 심지어 엑스포박람회 시너지효과를 기대하고 유치했던 월드아트서커스는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들였지만 입장권으로 회수한 것은 절반에도 훨씬 못미치고 심지어 대행사와 광양시 간의 손해배상에 따른 법적공방이 지금도 계속되는 후유증에 시달린다.

이순신대교개통이 여수시와 광양시 간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고 여수·광양국가산단의 활발한 교류효과는 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에 상응하는 피해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순신대교를 통해 야간경관사업이 활성화되고, 여수산단 근로자들이 광양시 경제 활성화나 인구유입에 영향을 미치거나 전국 관광객이 이순신대교를 통행하는 만큼 광양시 브랜드가치 또는 우리지역 관광에 특별한 효과를 유발하고 있는지는 의문이 강하다. 그런데 이런 부수적 효과를 다 합한 것보다 더 많은 폐단이 우리에게 직면해 있다.

여수산단에서 생산된 각종 제품의 육상운송은 별도로 하더라도, 부산물을 통해 생산된 유해화학물질들의 운송 또한 대부분 육상으로 이용되고 있고 그 중 상당수는 이순신대교를 통과한다.

이순신대교가 몸살을 앓을 지경에 이르러 교통량 및 운행속도제한을 실시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순신대교를 통행하는 교통량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광양환경운동연합이 작년 실시한 이순신대교 통행 유해화학물질운송 교통량 조사를 보면, 금호대교방향 주·야간 평균 2시간당 유해화학물질차량 교통량은 편도선으로 주간 49대, 야간 12대이며, 일반 대형화물은 주간 약 132대, 야간 158대로 조사돼 옥곡I.C를 이용하는 유해화학물질운송차량은 1일 편도로 약 300여대가 넘고, 대형화물차량도 1일 1600여대가 넘어 화물차량 중 유해화학물질운송차량은 적어도 2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순신대교에서 컨테이너부두방향으로 운송되는 편도 유해화학물질운송차량은 1일 평균 177대이고 대형화물은 1200여대에 이르러 이곳의 유해화학물질운송차량은 전체 운송량의 약 15%로 전체 대형화물운송차량 중 유해화학물질운송차량이 우리 관내로 진입되는 비율은 17%를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지역 유해화학물질

1일 운송차량 400대가 넘어

 

문제는 유해화학물질운송차량의 적재물질인데 이 중에는 운송 중 사고로 누출 시 치명적인 물질이 상당수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세계적으로 1200종이 넘는 유해화학물질이 유통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그런데 1일 상당한 량의 유해화학물질이 우리지역을 통해 운송되고 있고 이의 사고를 대비한 시스템은 여수산단에 치우쳐 있어 만일 집단주거지역 주변에서 대형누출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그 피해는 걷잡을 수 없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우리시는 여수시나 여수산단에 특단의 대책을 요구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 대형화물은 교통체증을 불러오거나 정비 불량에 따른 오염량 가중, 소음과 더러는 무질서한 운전으로 위협을 가하기도 한다.

특히 금호대교 교차로에서 꼬리물기식 운전이 성행하고 있고 옥곡I.C 방향으로 진행하는 대형화물은 신호에 걸리면 금호대교 아래구간으로 우회하면서 급커브를 마구잡이로 회전하는 경우가 잦아 이 길을 이용하는 운전자에게 적잖은 위협이 되고 있다.

아직 별다른 사고가 없었으니 시민들의 불편함은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인식이라면 그 자체가 불러올 화는 머지않아 엄청날 것이다.

대형 사고를 겪고 난 뒤에야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일반화돼 있는 우리사회 구조에서 우리는 이미 많은 학습이 돼있고 그만큼 해법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당장이라도 전문 대책기구를 꾸리고 시민의 안전한 환경권을 보장하기 위한 지혜를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