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기자수첩
  • 이정교 기자
  • 승인 2019.06.07 19:44
  • 호수 8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양 청년정책의 불편한 현실
이정교 취재기자

 

지난 4, 간담회 자리가 마무리될 즈음 최대원 시의원에게 발언권이 있었다.

“혹시 이 자리에 참석한 단체장 중에 시나 도 청년정책 자료를 보고 오신 분 있으실까요?”최 의원의 질문에 30명 중 1명이 손을 들었다. 그마저도 부끄러웠던 듯 책상에서 손을 조금 올렸을 뿐이다.

의견수렴 내내 읍면동 청년회장들은 입을 다물고 있었고, 몇몇 청년회장의 발언은 제안이라기보다는 하소연이나 마지못해 하는 발언에 가까웠다.

이들에게는 2주 이상의 간담회 준비 기간이 있었고, 심지어 하루 전에는 최 의원이 정책 자료를 개별적으로 보내기까지 했다.

“간담회가 진행된 시간은 청년들이 일을 해야 할 시간”이라고 제언하며 참석 했던 것치고는 당사자 이야기를 듣고자했던 당초 취지와는 무관한 발언만 난무했다.

전남도의회 청년발전특별위의 첫 현지활동 행보였고, 위원장을 맡은 김길용 도의원의 지역구였음에도 창피한 수준의 간담회라 할 수 있다.

올해 내내 타 지역의 선진 청년정책과 청년센터의 활동들을 찾아다니며 기획취재를 해나가고 있는 입장에서 이러한 모습은 불편하기까지 했다.

‘이것이 광양 청년단체의 실체인가. 차라리 커뮤니티모임 지원받는 동아리장들과의 대화가 내실 있었지 않았을까. 시의 보조금을 지원받아 행사를 꾸려나가는 단체들이 이렇게 시 정책에 관심이 없을 수 있나’등의 생각이 끝없이 머릿속을 헤집었다.

한 청년단체의 회장은“장기적인 정책과 사업도 중요하지만 연중 마무리되는 단발성 사업도 필요하다. 꼭 공적을 내세울 목적은 아니지만 회장 임기 내에 마무리되는 사업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들이 지역 청년을 대변하며 청년단체를 이끌어나가고, 지역을 위해 봉사활동도 꾸준히 해오고 있음은 인정한다. 그러나‘청년이 미래다’를 핵심적인 언어로 내세워지고 있는 요즘 시점에서 단발성 행사에만 그치고 말 것인지, 더 미래를 위한 장기적인 시각에서의 청년단체의 접근 노력은 없는 것인지 묻고 싶어졌다.

광양시 청년정책과 청년의 갈 길이 멀게만 보인다. 그리고 지역의 대표 청년단체들이 정말 지역을 위해 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후배 청년을 위해 지금부터 계속 노력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도 절실히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