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매화축제 ‘엇갈린 평가’…내년 축제 기약
광양매화축제 ‘엇갈린 평가’…내년 축제 기약
  • 김성준 기자
  • 승인 2023.03.27 08:00
  • 호수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市 “축제 성공적으로 치러내”
지역민 “교통정체·바가지” 여전
강력 단속 자신 불구 실제 미미
종합계획 수립 등 대책마련 시급
△ 제22회 매화축제를 찾은 상춘객들이 포장마차를 이용하고 있다.
△ 제22회 매화축제를 찾은 상춘객들이 포장마차를 이용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4년만에 열린 매화축제에 역대 최대인 122만명의 관광객이 찾았다. 유례없이 많은 관광객이 몰린 가운데 성과를 놓고 상반된 평가가 제기됐다.

우선 축제를 주관한 광양시는 ‘성공적’이라는 평가다. 일단 예년보다 축제장을 찾는 사람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안전사고 없이 마쳤다는 점을 높이 샀다. 

더불어 유료체험존, 유료주차장 운영 등을 통해 수익 창출형 축제로 전환하고 스폰서십을 도입한 ‘황금매화 GET’ 등의 이벤트도 큰 호응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던 교통정체를 개선하기 위해 40인승 왕복 버스 운영, 무료셔틀버스 증차, 주요 구간 실시간 CCTV 제공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했으며 화장실 추가설치, 불법 노점상 단속, 바가지요금 근절 등을 위해서도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하루에 17만명이 넘는 인파가 찾았음에도 인명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점이 큰 성과”라며 “축제장이니만큼 차량정체가 있을 수밖에 없지만 교통 개선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역민들은 고질적인 문제들은 여전한데다 되려 일부 주민들은 ‘소외감’마저 느낄 지경이였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매번 축제마다 지속되는 교통 혼잡, 불법노점상, 화장실 부족은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게다가 몰려드는 관광객에 비해 직거래장터 등에서 매출 증대 효과가 미비한데다 전기마저 반복해서 정전되는 탓에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는 거의 없었다는 입장이다.

또 인근에 진행 중인 공사가 축제 기간에도 지속되며 비산먼지와 분진 등이 축제장을 뒤덮으며 인근 ‘리버마켓’을 찾은 관광객들이 서둘러 돌아가기도 했다며 시의 미숙한 행정을 꼬집었다. 

정희봉 다압면 청년회장은 “먼저 큰 사고 없이 축제를 무사히 마쳐 다행”이라며 “장·단기적인 종합계획을 수립해 기반시설 확충, 우회도로 개설, 행사지 분산 개최 등을 논의해 전국축제로 발돋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시는 고질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한계는 존재한다고 해명했다. 축제기간이고 평소보다 사람이 많이 몰리는 기간인 만큼 교통정체는 어느 정도 감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불법 노점상 역시 격한 반발과 인력부족으로 인해 강력한 단속을 벌이기도 힘든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축제기간 진행된 공사와 관련해서는 담당부서와 공사 중단을 검토했으나 이미 공사기간이 업체와 결정돼있어 중간에 변경을 논의하긴 어려웠다고 전했다.

시 관계자는 “올해는 마스크 해제에 대한 보상심리로 예상보다 많은 관광객이 몰린 만큼 도로확장이나 우회도로 등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차량정체에 짜증을 내던 상춘객들도 시골 특유의 분위기와 어우러진 매화꽃을 보며 웃음을 되찾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일부 비판을 피해가긴 힘들어 보인다. 시는 축제가 한창이던 지난 11일 보도자료를 통해 불법노점상과 바가지 요금에 대해 강력하게 단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으나 실제 단속은 경미한 수준에 그쳤다.

종합상황실로 접수된 바가지요금 신고 5건에 대해서는 ‘주변가게와 시세를 맞춰달라’는 단순한 권고 수준에 머물렀다. 게다가 불법 노점상 전체가 아닌 무신고 식품판매에 대해서만 9건을 적발하고 고발조치 했다. 최근 울주군이 벚꽃축제를 준비하며 행정력을 총 동원해 무허가 몽골텐트 150동을 강제 철거하는 ‘엄정 대응’ 사례와 상반돼 아쉬움을 남겼다.

더불어 지난 1월 매화축제위원회에서 김종호 위원장이 “지금까지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하고 달라진 모습으로 시민과 관광객을 맞이해야 한다”며 대대적인 개선을 홍보한 점에 비해 개선점이 크지 않아 ‘말뿐인 대책’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식당에서 파는 파전의 경우 재료와 배합비율 등 세부조건이 달라 금액을 강제하기 어려운데다 식품은 식중독과 위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우선 단속했다”며 “강제 철거를 시도하면 칼까지 들고 반발하는 사례도 있어 집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고질적인 문제들이 매년 되풀이 되지만 1년 중 10일을 위해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긴 어려운 실정”이라며 “최대한 주어진 환경에서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