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준보다 엄격한 문화재 관리
정부기준보다 엄격한 문화재 관리
  • 박주식
  • 승인 2008.11.26 21:12
  • 호수 28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각사 오가타 호슈 스님

 “국가 기준이 금각사에서 원하는 기준보다 낮아 자체적으로 방재설비를 설치하고, 소방서에 크게 의지 않고 24시간 자체 인력이 상주하며 경내를 철저히 감시 하고 있습니다”

금각사의 오가타 호슈 스님은 “센서와 소화기 정도의 방화시설을 제시하는 정부의 방재 기준으로는 문화재를 지킬 수 없다”며 “금각사 재난시스템은 전문위원회 만들어서 토론 하면서 싼 기계보단 비싸더라도 좋은 기계로 완벽하게 대비 하자는 쪽으로 결정 해 추진했다”고 한다. 스님은 “한국에도 법으로 규정돼 있겠지만 만족하지 말고 스스로 기준을 정하고 그 기준에 부합 되도록 노력함으로써 문화재를 지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정을 하는 사람들은 사찰이 어떻게 되든 크게 상관치 않기 때문에 사고가 난후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를 탓해봐야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얘기다. 오가타 스님은 “한국의 숭례문 화재를 보고 슬펐다. 숭례문 복원 때도 전선이 아닌 광섬유를 이용하면 모두가 그것을 보고 배울 것이다”며 복원되는 숭례문이 완벽한 재난 설비를 갖춰 다른 시설의 모범이 되길 희망했다.

또 “화재 시 지금은 대부분의 옛 기와 목조건물이 지붕 안으로 물을 뿌려 소화하기 힘들지만 숭례문 복원 시 노즐을 지붕 안으로 설치 화재에 대비하는 방법을 만든다면 우리가 다시 배우겠다”고 말했다.
일본은 문화재 화재 시 기와 철거 등 훼손이 필요할 경우 최종 책임(결정)을 우리처럼 문화재청이 아닌 현장을 지휘하는 소방책임자가 맡는다.

오가타 스님은 “일본은 평소 큰 정책은 중앙에서 하지만 불이 나면 현장 소방 책임자의 판단에 따라 결정한다”고 말했다. 화재 시 소방대원은 목숨을 걸고 소화에 나서기 때문에 지휘관의 입장에선 문화재 보단 소방관의 생명이 우선이며, 법령에 따라 움직이면 상황에 대한 대처가 어려워짐에 따라 현장 책임자의 판단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