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정책, 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청년정책, 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 이정교 기자
  • 승인 2019.02.15 17:30
  • 호수 79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정교 취재 기자

청년은 미래다. 하지만 요즘 청년은‘N포 세대’다. 연애·결혼·출산을 비롯해 꿈과 희망까지 포기한다 해서 불리는 명칭이다.

높은 대학 진학률로 고학력자가 상당수고, 기대치를 맞춰줄 수 있는 기업들은 한정돼 있다.

‘경기’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임금도 많이 늘지 않는다. 젊다는 이유로 강요되는‘업무 부담 가중’도 낮은 취업률, 높은 이직률에 한몫하고 있다.

요즘 청년은‘복세편살’이 최고라고 생각한다.‘복세편살’은‘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의 줄임말이다. 뜻대로 잘 이뤄지지 않는 삶을 비관해 ‘이번 생은 망했다’는 의미로‘이생망’이라고 표현하고, 취업 등 살아가는데 어려움이 많다는 이유로 우리나라를‘헬조선’이라고도 칭한다. 이러한 줄임말들이 청년이 체감하는 우리나라의‘현실’인 셈이다.

정현복 시장은“양질의 일자리를 위해 공장 유치에 더 노력 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시가 2017년에 진행한 ‘광양시 청년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결과를 보면,‘광양 지역은 양적 측면에서 일자리가 타 지역에 비해 양호’하다는 분석이다.

덧붙여 △임금 격차 심화 △교대·추가 근무 △낮은 고용안정성 △청년 눈높이와 일자리 상황 괴리 △높은 근무강도 △여성 일자리 부족 등이 지역 청년이 체감하는 주요 이슈라고 설명했다.

이는 일자리 자체가 부족하다기 보다‘내가 원하는 일자리’가 없다는 풀이다. 적게 일하고, 많은 임금을 받고 싶은 바람은 좀처럼 채워지기 힘들다. 지역 기업이 원하는 구직자수가 좀처럼 채워지지 않는 것도 비슷한 이유다. 이런 이유로 광양 지역은 ‘구인난’과‘취업난’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지원 위주 정책은 한계가 있다. 아홉가지의 사업은 각각 떼어놓고 보면 분명 좋은 사업이다. 하지만 다음단계로 연결되지 않고, 지속성이 부족하다면 결국 소모적인 1회성 사업일 뿐이다.

예를 들면 지난해 추진한‘지역 청년활동가 양성 교육’은 단지 교육을 한 것에 그쳤다. 참가자가 이후 어떤 활동들을 해나갔는지 등의 피드백은 확인되지 않는다.‘청년단체 활동지원 사업’은 3개 청년 단체가 참여해 1회성 행사와 몇 차례 캠페인만 진행하고 끝났다. 시 지원을 받은‘청년신문’은 불특정한 간격으로 소수의 기사만 업데이트 되고 있다.

올해 추진될 일부 사업도 1회성 소모적인 지원에만 그칠까 우려된다. 선택과 집중이 아닌 소액으로 다수를 지원하는데 우선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행정이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청년’을 사회 구성원으로써 온전히 홀로서기를 돕기에는 그보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원 이후 장기적인 피드백과 로드맵도 이어져야 한다.

어떻게 보면‘밑 빠진 독에 물 붓기’일수도 있고, 투자한 만큼 성공할 것이라 확신하기도 어려운 것이 청년정책이다. 그러나 우리는 때때로, 기다려줘야 하고 이끌어줘야 할 필요가 있다. 정책의 범위에서 벗어나 온 사회의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