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칼럼] 목인석심 (木人石心) : 나무나 돌처럼 심지가 굳은 사람
[고전칼럼] 목인석심 (木人石心) : 나무나 돌처럼 심지가 굳은 사람
  • 광양뉴스
  • 승인 2019.05.03 18:58
  • 호수 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경일 연관단지 대한시멘트 1공장

 

이경일 연관단지 대한시멘트 1공장

중국의 위, , 촉한 삼국을 최종적으로 통일한 사마씨(司馬氏)가 세운 진()나라 때의 이야기다. 권력이나 부귀영화를 탐하지 않고 유혹에도 꿋꿋함을 보이며 움직이지 않는 지사를 가리킬 때 쓰는 말이다.

조씨(曹氏)의 위()나라 정권을 무너뜨린 진나라가 기강이 어느 정도 잡혀갈 즈음 수도 낙양성 교외의 강변에는 왕족, 귀족, 일반 서민 할 것 없이 모두 나와 축제 분위기 속에서 봄날을 만끽하고 있었다.

그때 갑자기 물러 거라! 하는 호령과 함께 의장병을 앞세운 고관의 요란한 행렬이 나타났다. 사람들이 놀라 그 쪽을 보니 태위(太尉:군사부분을 담당한 재상 급) 가충(賈充)이었다. 가충은 본래 위나라 조조(曹操) 부하로 중신이었으나 진나라를 건국할 때 적극 협력하여 그 공으로 막강한 권세를 잡고 부귀영화를 누르고 있었다. 상춘객(賞春客)들의 분위기는 아랑곳하지 않고 거들먹거리며 뒤늦게 봄맞이에 참가한 가충은 주위를 살피다가 이상한 한 인물을 보게 된다.

한결같은 상춘객과는 달리 작은 배 위에서 홀로 약초를 뒤적거리며 말리고 있었다. 주위의 소란에도 전혀 동요하지 않고 얼굴에 엷은 미소를 띠며 하던 일에만 열중하고 있었다. 가충은 괴상하게 여기며 그를 불러 누구냐며 따지듯 물었다.

그는 약초를 뒤적이며, 회계군 태생인 하통(夏統) 이라고 대답했다. 지금 무엇을 하느냐고 묻자, 어머니께 달여 드릴 약초를 구해 말리는 중이라고 했다. 그럼 당신의 고향에도 삼월 삼짇날 백성들이 함께 모여 즐기는 풍습이 있느냐고 묻자, 이런 풍습은 있어도 먹고살기가 빈한하여 농사 짖기에 바빠 즐길 수 없다고 대답했다.

그렇다면 봄에 즐기면서 부르는 노래는 할 줄 아느냐고 묻자, 노래정도는 부를 수 있다고 했다. 내친김에 그 노래한번 들려줄 수 없냐고 해서 하통은 약초 말리기를 잠시 쉬고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그의 노래는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숨소리 하나 못 내게 할 정도로 절창(絶唱)이었다.

회계에서 유행하는 대우(大禹)와 효녀 조아(曹娥), 의인 오자서(伍子胥)의 노래를 하는데, 발로 장단을 치며 가락이 절묘하여 감탄을 자아내며 듣는 사람모두에게 가슴을 파고들었다.

가충 역시 손뼉을 치며 칭찬하였다. 내가 지금까지 잘한다는 사람들의 노래를 많이 들어 보았지만 여태까지 들어본 중에 최고의 절창이다. 노래는 그렇고“당신이 강변에서 살았다면 배 부리는 일도 잘 할 수 있는가?”“배를 부리는 일은 우리의 일상입니다.”“그럼 그 재주를 우리에게 보여줄 수 있소.”말이 떨어지자 하통을 배 바닥에 약초를 대충 정리하고 상앗대와 노를 번갈아 가며 배를 부리는데 그 익숙함은 마치 입안에 든 혀 놀리듯 빈틈이 없고 배는 화살처럼 물위를 미끄러져 삽시간에 멀리 갔다가 오며 큰 뱀이 헤엄치듯 지그재그로 물살을 일으켰다.

마침내 본래 위치로 돌아온 하통에게 가충은 칭찬을 아끼지 않으며“내가 추천을 해줄 테니 벼슬한번 해보지 않겠소?”“저 같은 민초가 무슨 벼슬이냐”고 고개를 절레절레 흔든다. 하통은 세상만사를 초월한 것 같이 보였다.

가충은 어디 당신이 얼마나 고상한지 한번 보자 하는 생각으로, 잘 훈련된 정예병을 모여 놓고 손끝으로 의장병을 움직이며 흙먼지 자욱하게 대형을 달리하며 지휘관으로서 면모를 뽐내기도 했으나 하통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약초 말리기에만 열중할 뿐이었다.

그때에 가충은“저 사람은 참으로 ‘목인석심’이구나 저 정도 심지가 굳은 사람은 나도 어찌할 수 없는 일이로다”하며 그를 고향으로 돌아가도록 배려하였다.

본래‘목인석심’을 심지가 굳고 어떠한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는 의지가 강한 사람을 말하는데, 요즘은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센 바보 같은 사람을 목석같다고 한다. 이것은 잘못 인용하여 쓰는 말이다. 목석의 본딧말이 목인석심 에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