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폭력 대비 보험상품이 불티나는 요즘 세상
학교 폭력 대비 보험상품이 불티나는 요즘 세상
  • 지정운
  • 승인 2012.01.16 09:23
  • 호수 4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안은 소통과 인성교육+사회 전체의 관심

가해자들은 장난인데 당하는 학생들은 죽을 맛이다. 학생이라며 관대한 경찰서와 사건을 덮으려고만 하는 학교, 대화가 없었던 부모에게는 말하기가 어렵고 어디에도 하소한 할 곳이 없다.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죽음이란 수단으로 고통을 피하려는 생각을 떠올린다.

심각성을 깨달은 정부에서는 학교 폭력을 줄이겠다며 갖은 처방을 다 썼지만 오히려 학교 폭력은 줄지 않고 오히려 흉포화ㆍ저연령화하고 있는 양상이다. 이런 향상을 반영하듯 학교 폭력을 대비한 보험상품이 불티나게 팔리는 것이 요즘 현실이다.

학교 폭력이 최근 사회문제로 급격히 불거진 것은 대구에서의 중학생 자살사건이 시발점이 됐다. 하지만 자살한 학생의 부모가 모두 현직 학교 교사라는 사실을 아는 이는 별로 많지 않다. 자살한 학생의 아버지는 현재 휴가를 내고 칩거 중이란 말도 들린다. 학교 폭력의 원인과 대책을 찾을 수 있는 단서도 여기에 있다.

▶ 소통이 부족한 사회, 덮기만하는 학교, 관대한 경찰, 지역의 무관심이 문제

청소년 전문가들은 최근 이번 사건에 대해 맞벌이로 인한 부모와의 소통이 부족했을 것이며, 현직 교사인 부모를 걱정한 이른바 ‘착한 아이 콤플렉스’를 가진 학생의 극단적 선택이었지도 모를 일이라고 진단한다. 결론은 가정 교육과 부모의 꾸준한 관심으로 집약된다.

또 하나의 원인은 학교의 ‘블랙박스화’와 학교 운영의 ‘비밀엄수 주의’에서 찾을 수 있다. 지역 청소년관련 단체들은 그동안 학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없이 노크했지만 문은 쉽게 열리지 않았다. 그야말로 알수 없는 ‘블랙박스’다.

또 학교정보의 외부 유출을 우려하는 학교의 폐쇄성이다. 학교는 나름의 위센터니, 위클래스니 하는 조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이도 학교 내 조직일 뿐이다. 가해학생이 지켜보고, 그 학생의 친구가 감시한다.

피해사실을 알리면 어떻게 알았는지 엄청난 보복을 해온다.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는 사실을 학생들은 피부로 체득한다. 이러한 과정을 겪으며 학교의 비밀 엄수주의는 문제해결의 시기를 놓치게 하고, 다른 경로로 문제를 악화시켜 표면화시킨다. 그야말로 풍선효과의 모델이다.

이같은 문제에 대해 임성택 강원대학교 교수는 “해결점은 덮는 대신 공개하는 것이다. 잠재된 사건을 발굴해 해결해 내면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의 채택을 권한다”고 말하고 있다. 학교 폭력이 줄지 않는 이유 중 하는 현재 위센터와 위클래스 등에 있는 상담인력과 전문성 부족에도 원인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이 계약직이며 경력도 짧다. 신분상 제약 때문에 언제든 자리를 뜰 준비가 돼 있다.

가해학생에 대한 교육도 허술하기 짝이 없다. 수백명을 강당에 앉혀놓고 하는 교육은 하나마나 하다는것이 일선 경찰의 지적이다. 이 부분에 대해 청소년 상담 전문가는 “학생들도 14세 이상이면 폭력으로 잡혀갈 수 있고, 그에따라 댓가를 치러야 한다는 것을 확실히 인식시켜야 한다”며 “이러한 내용을 학교 교육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역사회의 무관심도 아쉬운 부분이다. 여성이나 노인관련 예산에 비해 청소년 예산은 턱없이 부족하다. 광양시의 경우 노인인구는 약 1만 4000명 정도에 관련시설은 277개, 예산은 184억 6100만원이다. 취학전 아동(여성 관련)은 9000명 정도에 시설 188곳, 예산은 258억 원에 달한다. 반면 청소년은 1만 5천명에 시설 3곳, 예산 30억 원에 불과하다.

이런 여러 가지 원인들은 결국 성적 지상주의가 불러온 우리 사회의 자화상이란 지적이다. 김성현 광양시청소년상담지원센터 소장은 “성적 지상주의 경쟁에서 밀려난 학생들의 욕구 분출이 학교 폭력으로 나타나고, 그 피해를 학생들이 받는 것”이라며 “현재 학교 폭력 파악 실태는 빙산의 일각으로 일단 신고해도 괜찮다는 ‘멍석’이 깔리면 어떤 형식으로 봇물이 터질지 상상하기 힘들다”고 현재를 진단했다.

그는 또 “현재의 학교 폭력 문제는 학교와 학부모, 경찰만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여기에 지역 의료기관과 청소년상담지원기관, 가정지원시설, 여성단체, 지자체가 연계된 사회 전체가 나서서 학교폭력을 감시하고 교육하는 일에 모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