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서 도화선 … 한국노총 ‘대정부 투쟁’ 나서
광양서 도화선 … 한국노총 ‘대정부 투쟁’ 나서
  • 김성준 기자
  • 승인 2023.06.09 19:21
  • 호수 1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일, 경사노위 참여 중단 결정
‘광양사태’ 결정적인 계기 작용
정권 심판론 “구걸하지 않겠다”

한국노총이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 중단을 결정한데 이어 8일 ‘대정부 투쟁’을 선언했다. 

한국노총은 지난 7일 광양지부 회의실에서 ‘제100차 긴급 중앙집행위원회(중집)’를 열고 경사노위를 참여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이 경사노위에 불참하는 것은 7년 5개월만으로 사실상 정부와 노동계의 공식적인 대화 창구가 닫히게 된 셈이다. 

이번 한국노총의 결정에는 지난달 31일 광양제철소 앞에서 고공 농성 중이던 김준영 금속노련 사무처장을 경찰이 과잉 진압한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이지현 한국노총 대변인은 지난 7일 중집회의를 마친 후 브리핑에서 “경찰이 농성 중이던 김준영 금속노련 사무처장을 강경 진압한 것은 노동계에 대한 강력한 탄압”이라며 “한국노총은 전조직적으로 정부에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노총 전 조직은 윤석열 정권 심판 투쟁에 나설 것을 결의했다”며 “정부 심판 투쟁의 일환으로 경사노위의 모든 대화기구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한국노총의 경사노위 탈퇴 여부는 집행부에 일임하기로 했다. 

이 날 회의에서 경사노위 불참을 결정한 한국노총은 광양제철소본부 앞에서 긴급 결의대회까지 진행했다. 결의대회에는 한국노총 산별노조 조합원 1500여명이 모였다.

이들은 구속 중인 김준영 금속노련 사무처장의 석방과 윤희근 경찰청장 사퇴,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퇴진 등을 강력 촉구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이 곳 광양에서 김만재 위원장, 김준영 사무처장만 유혈 진압된 것이 아니라 한국노총 150만 조합원과 2500만 노동자의 삶이 짓밟혔다”며 “여기서 미온적으로 대처하고 주춤거린다면 제 2, 3의 광양사태로 이어질 것”이라며 투쟁 의지를 밝혔다. 

망루 농성 진압 당시 ‘뒷수갑’이 채워져 체포됐던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도 집회 무대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김만재 위원장은 “제발 교섭에 나와서 같이 논의하자고 했으나 경찰은 폭력으로 진압했다”며 “우리보고 법을 지키라고 하면서 당장 경찰이 위법행위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노총 출신 이정식 고용노동부장관에게 나름대로 희망을 걸었으나 거꾸로 개악과 탄압을 실시하고 있다”며 퇴진을 촉구했다. 

대회 직후 광양북초등학교에서 광양경찰서까지 2km가량 가두행진을 이어간 한국노총은 이튿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노총은 윤석열 정권의 폭압에 맞선 전면 투쟁을 선포한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노동계를 대화의 상대로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철저히 배제하는 정부를 향해 대화를 구걸하지 않겠다”며 “한국노총의 윤석열 정권 심판 투쟁은 끈질기고 집요하게 전개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노사갈등의 원인이 된 광양사태는 포스코 하청업체인 포운 노동자들이 임금 교섭과 부당노동행위 중단 등을 촉구하면서 400일 넘게 농성을 이어오다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자 금속노련이 합류하면서 시작됐다. 금속노련 집행부는 지난달 29일 밤부터 망루를 설치하고 고공 농성에 돌입했다. 

경찰은 통행 방해 등을 이유로 진압에 나섰으나 이를 저지하던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이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체포됐다. 이어 경찰은 지난달 31일 새벽 망루 위에서 농성을 이어가던 김준영 사무처장을 끌어내리려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김 사무처장이 경찰의 접근을 막기 위해 쇠파이프 등을 휘두르며 저항하자 경찰은 경찰봉을 이용해 제압을 시도했다. 경찰이 휘두른 경찰봉에 수 차례를 맞은 김 사무처장은 피를 흘리며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