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흥산성 쌍사자석등’…이번에는 제자리로?
‘중흥산성 쌍사자석등’…이번에는 제자리로?
  • 김성준 기자
  • 승인 2024.02.04 17:14
  • 호수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양 유일 국보, 범시민 서명운동
일각, 반복되는 ‘단발성 요식행위’
시“체계 수립해 적극 추진 계획”

광양시가 번번이 실패해 온 국보 찾기가 이번에는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시민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광양시는 고향사랑기부금 제1호 기금사업으로 ‘중흥산성 쌍사자석등 환수운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범시민 서명운동을 시작으로 홍보캠페인 전개, 현수막 게첨, 학술 세미나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 

이를 두고 지역 사회에는 다소 상반된 반응이다. 시민들의 관심이 유지될 수 있도록 주기적인 행사 등이 열려 반갑다는 의견과 비슷한 행사만 반복하는 ‘요식행위’에 그친다는 곱지 않은 시선도 제기됐다. 

시는 지난 2021년에도 환수위원회를 구성하고 학술대회를 개최하는 등 유사한 행사 등을 진행했지만, 단발성으로 그치면서 시민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이번 환수 운동 역시 보관 장소 등 세부 계획이 세워지지 않은 채 환수만 요구한다면 앞선 2번의 사례와 마찬가지 사유로 거절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이에 시 관계자는 “지난 2021년 개최한 학술대회는 석등의 문화재적인 가치를 재조명하는 행사였다면 이번 학술대회는 사진자료 등을 토대로 ‘제자리’를 찾고 위치를 바로잡는다는 의미가 있다”며 “이번에는 시민단체와 더불어 시 차원의 행정적인 뒷받침도 함께하면서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각종 행사에 꾸준히 홍보하는 등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환수가 결정되더라도 보관 장소나 방법 등 이후 과정은 추가로 논의 되기 때문에 시작 단계에서 고민하긴 이르다”며 “문화재는 원래 위치에 있을 때가 가장 아름답고 빛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충분한 시민 공감대 형성이 1차적인 과제”라고 덧붙였다. 

앞서 ‘중흥산성 쌍사자석등’은 광양시 문화재 중 유일하게 국보로 지정됐다. 사실적이면서 세련된 형태로 뛰어난 조각 기법을 인정받은 이 석등은 일제 강점기부터 시련을 겪었다. 

석등의 가치를 알아본 일본인이 몰래 밀반출하려는 모습을 옥룡 주민들이 발견하면서 지켜냈다. 일단 도지사 관사로 옮겨진 석등은 이듬해 경복궁 자경전으로 향했고, 해방 후에는 청와대, 덕수궁, 경복궁을 떠돌다 1990년에 광주국립박물관에 자리를 잡았다. 

광양시민들은 석등을 찾아오기 위해 1992년 2210명이 문화공보부에 진성서를 제출했고 2009년 국립박물관에 반환을 요청했다. 지난 2021년에는 35개 시민단체가 참여해 환수위원회를 구성하고 학술대회를 개최하는 등 끊임없이 환수 운동을 펼쳐왔지만 문화재청과 국립박물관측은 ‘보관 장소’와 ‘전문적인 보존’ 등을 이유로 거절했다. 

한편 광양시와 유사한 사례인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은 5년여가 넘는 범시민운동을 벌인 끝에 고향을 떠난 지 108년만인 2019년 환수가 결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