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수면위로’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수면위로’
  • 지정운
  • 승인 2012.04.09 09:36
  • 호수 4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운산지키기 시민행동 토론회서 제기 임업 관계자 등 일부에선 “신중해야”
제3차 백운산 토론회에서 조계중 순천대 교수가 백운산의 생태적 가치와 보존방안에 대해 발제하고 있다.

백운산의 서울대 무상양도 논란에 앞서 고로쇠약수협회와 일부 농업인 단체 등이 격렬하게 반대해 무산된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움직임이 다시 수면위로 부상하고 있다. 백운산 무상 양도에 대한 대안으로 국립공원 지정이란 카드를 백운산지키기 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이 꺼냈기 때문이다. 시민행동은 지난 3일 청소년문화센터에서 시민사회 단체 관계자와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차 백운산 토론회를 개최하고 백운산의 생태적 가치와 보존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토론에서 발제에 나선 조계중 순천대 교수는 “백운산의 생태적 가치를 효율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방안은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체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장기적으로 백운산의 옛 모습과 명성을 회복하고, 관광객 증가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국립공원’지정이 타당하다”고 활용방안을 제시했다. 조 교수는 또 “백운산과 지리산은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경관 보전지구인 만큼 공공의 재산에 해당돼 무상 양도의 재산이 아니다”며 “백운산을 지키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결집된 역량과 더불어 지자체 장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자체장의 역할론에 토론자로 참석한 이재창 광주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본부장도 힘을 보탰다. 그는 “국립공원이 되면 규제가 많을 것이라고 걱정을 하는데 사실 도립공원보다도 규제가 약하다”며 “처음에는 무등산 국립공원에 반대하던 담양과 화순 주민들도 지금은 국립공원 추진에 협조하고 있으며, 이같은 결과는 강운태 광주시장이 선거공약으로 채택하면서 의지를 갖고 추진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국립공원 지정 움직임이 가시화되자 일각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임업 관련 단체 관계자는 “산을 생활터전으로 삼고 사는 사람들이 4대 계곡에 많은 만큼 이들에게 국립공원이 지정될 경우 소득보전과 생업에 지장이 없다는 것을 증명해 줘야 반발이 없을 것”이라며 “국립공원을 하자는 사람이 공원 지역 내에 사는 사람이라면 설득력이 있겠지만, 바깥에 사는 사람이 주장하면 그것은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소리도 들어보는 등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공원 지정 절차는 지자체장의 신청 접수에 의해 시작되며 이후 정부의 해당 지역 조사, 주민공청회 및 설명회, 관할 지자체장 의견 수렴을 거쳐 중앙행정기관(장관)의 검토 및 국립공원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