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의 일과 사랑 그리고 행복
20대의 일과 사랑 그리고 행복
  • 전흥남 한려대 교수
  • 승인 2011.06.13 09:44
  • 호수 4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6월 10일로 ‘6월 항쟁’ 24주년을 맞았다. 요즈음 젊은이들에게 6월 10일은 대부분 보통의 어느 평범한 날로 여긴다는 설문조사를 결과를 보았다. 동시에 ‘6월 항쟁’에 대한 역사적 의미는 비교적 알고 있었다고도 한다. 1987년 연인원 500만 명이 참가해서 20여일 동안 반독재 민주화투쟁을 한 날로 배웠다는 것이다. 우리가 젊은 세대들에게 희망을 거는  징조로 여겨진다. 잘 알려져 있듯이 시위에 불을 댕긴 것은 역시 젊은이들이였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은폐조작 사실이 드러나고, 게다가 시위 중 최루탄에 맞은 대학생 이한열의 죽음은 이른바 ‘넥타이 부대’라는 젊은 직장인들의 동참으로 절정에 이르렀고, 마침내 일정 정도의 가시적 성과를 얻어냈다. 필자는 역사 전공자는 아니지만 ‘6월 항쟁’은 ‘4·19’정신, 1980년대의 ‘5·18정신’을 계승하는 역사적 사건으로 그 의미가 반감되지는 않을 것으로 확신한다.

요즈음 우리 사회의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반값등록금’ 실현운동일 것이다. 시민정치운동의 ‘제3물결’을 주도하는 양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른바 ‘시민정치’의 움직임을 우리 사회에 폭넓게 번지게 하고 있는 셈이다. 이 흐름의 특징은 시민들이 직접 정치와 정책에 대해 목소리를 내거나 행동을 취하기도 한다. 보통 땐 동네나 온라인에서 수다를 떠는 ‘물밑 네트워크’로 존재하다가 자신들과 직접 이해관계가 얽힌 정책이나 정치적 상황이 나타나면 수면 위로 솟구쳐 ‘촛불’이 되는 식이다. 이렇게 우리 사회는 역사의 중요한 고비마다 젊은이들의 열정과 희생에 힘입은 바 크다. 20대-30대의 젊은 세대는 대체로 정책을 직접 입안해서 수립하고 집행하는 입장에 있지는 않지만, 주요 정책의 흐름을 바꾸기도 하고, 나아가 국민적인 관심사로 부각시켜 역사의 물줄기를 제대로 돌려놓는데 기여한 바가 컸던 것이다.

그런데 20대의 젊은이들이 근래 들어 부쩍 살기 힘들고 지친다고 아우성이다. 대학에 들어가면 스펙 쌓기 경쟁에 내몰리고, 한 학기 등록금을 벌기 위해서는 알바 현장을 누벼야 한다는 하소연들이 끊이지 않는다.  필자는 20대에 성취해야 세 가지를 압축해서 학업, 취업, 그리고 사랑(결혼)을 꼽았다. 그런데 작금의 20대 젊은이들이 이 세 가지를 성취하기가 녹록지 않은 현실이 되고 있다.

비싼 등록금 부담 때문에 대학에 들어가서도 마음 놓고 학업에 정진해서 평생 배움의 기초를 튼튼히 쌓기가 쉽지 않고, 또 막상 취업하려고 하면 웬만한 직장은 ‘하늘의 별 따기’다. 자칫 비정규직으로 내몰리면 암담하고 여러 가지로 벽에 부딪히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 같아 망설여진다. 직장 잡기가 쉽지 않으니 사랑하는 사람이 있어도 결혼을 미루게 되고 열패감에 휩싸이기도 한다. 젊은이들은 당연히 행복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행복하지 않은 삶을 사는 것이다.

젊은이들이 배움에만 정진해도 세계의 젊은이들과 경쟁하기 버거운 현실인데, 등록금 걱정을 해야 하고, 대학 졸업 후에도 직장을 잡기가 너무 어려워 미래에 대해 불안해하는 사회는 정녕 문제가 많은 점만은 분명해 보인다. 물론 기성세대 중에는 젊은 시절 그런 고민, 열정, 노력을 통해 성취해 갈 때 인생의 난관을 능히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당연시 하는 경우도 있을 줄 안다. 하지만 지금의 현실은 그런 원론적 수준을 넘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우리 사회의 모든 부문에서 역량을 결집해서 문제의식의 공유와 공감대의 확산을 통한 획기적인 방안의 수립과 실천력을 확보해서 국가의 최우선 정책으로 밀고 나가야 당위성이 여기에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의 시발점에 놓여있는 것이 대학생들이 제기하고 있는 ‘반값등록금’ 실현 욕구와 관련된 정부의 의지와 실행력에 달려 있다고 본다. 세대를 불문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해야 할 권리가 있다. 특히 젊은 세대의 학습 욕구, 일과 사랑은 행복의 최소 요건이다. 이것은 젊은 세대의 몫으로만 남지 않는다. 국가 및 사회의 미래와 경쟁력이라는 더 큰 과제가 엄정하게 놓여있음을 직시해야 할 시점이다. 이것은 지역사회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는 얘기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