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광양점 사회기부, 그동안 어떻길래
홈플러스 광양점 사회기부, 그동안 어떻길래
  • 이성훈
  • 승인 2013.02.25 10:02
  • 호수 5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참여연대 “이 정도면 봉사단체만도 못한 수준”


기업, 이윤창출과 함께 지역 상생 고민해야


한해 매출 수백억…
기부는 100~200만원 
복지재단 저금통 설치 요청하자
‘거부’→ 마지못해 ‘수용’
광양국제서커스 지원도 ‘외면’
울퉁불퉁한 주차장, 해마다 뜯어고쳐
 
광양참여연대가 이번에 홈플러스 광양점에 대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철저히 묻겠다는 것은 홈플러스의 이중적 태도와 무관하지 않다. 홈플러스는 ‘ISO 26000’을 인증받은 기업이다.

‘ISO 26000’이란 2010년 11월 제정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으로서 사회적 책임의 원칙, 관련 핵심쟁점에 대한 지칭 및 조직 내에서 사회적 책임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와 환경에 대한 영향에 대해 기업의 투명하고 윤리적인 방법으로 책임을 지는 것을 말하는데 기업이 이윤을 창출하는 만큼 사회적 책임도 크다는 의미다. 홈플러스는 이에 따라 현재 본사 차원에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으로 되돌아가면 말이 달라진다.

모든 시스템과 예산이 본사 방침대로 움직이고 있어 지역 매장에서는 자체적으로 기부활동 등 사회 공헌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광양신문은 지난해 홈플러스 광양점이 △해마다 주차장을 뜯어 고치고 있다는 기사 △수백억의 매출을 올리고도 지역사회 기부가 거의 없다는 지적 △광양시사랑나눔복지재단에서 요청한 저금통 설치 거부 △광양국제서커스 지원도 외면하는 등 다양한 기사를 보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따끔히 지적한 바 있다. 

지난 2005년 9월 문을 연 홈플러스는 연매출액이 2006년 214억 원, 2007년 454억 원, 2008년 497억 원 2009년 509억 원, 2010년 554억 원, 2011년 583억 원 등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 광양지역농산물 및 지역상품 구매와 기부는 사실상 전무하다.

인근 어린이 집에 100여만 원을 기부한 것을 비롯해 직원들의 봉사활동 일부 참여 등이 전부다. 홈플러스는 2010년도에도 다문화 가정 행사에서 150만원 상당의 상품을 기증했고 지역 단체 체육 행사에 60만원 상당의 김치 냉장고를 기증하는 등 봉사단체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뿐만이 아니다. 홈플러스는 지난해 광양시에서 열린 국제서커스에도 시의 지속적인 지원 요청에 미적거리다가 결국 지원하지 않아 더욱더 공분을 샀다. 광양시사랑나눔복지재단에서는 매장에 저금통 설치를 요청했으나 본사 차원에서 따로 하고 있다며 거절했다가 언론의 따가운 눈총을 받은 후에야 허가해주는 촌극을 빚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참여연대는 홈플러스가 지역사회에 기여는커녕, 돈벌이에만 급급하고 있다고 판단을 한 셈이다. 김윤필 상임대표는 “지역 농산물의 경우에도 광양시민이 소화할 수 있는 양을 기준으로 계약을 해야지 여수ㆍ순천ㆍ광양시민 등 80여만 명 기준에 맞춰 농산물을 납품하라는 것은 아예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지 않겠다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농산품뿐만 아니라 부끄럽기 짝이 없는 수준의 기부 활동, 임대 매장에 대한 불공정한 계약 등 모든 부분을 철저히 점검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 “최선을 다하겠다”지만…
홈플러스 측은 참여연대의 강력 대응 방침에 대해 지역과 상생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취재결과 과거 모든 결정권은 본사 차원에 있다는 해명과는 달리 이번에는 한단계 더 진전된 입장을 보인 셈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그동안 직원들도 남모르게 봉사하고 지역에서 다양한 활동을 해왔다”며 “이제는 홍보도 더욱더 강화하고 홈플러스가 지역에서 어떻게 활동하는지 적극적으로 보여주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광양시와도 상생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고 앞으로 다양한 기관들과 만나 이에 대해 머리를 맞대겠다”며 “지역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신뢰를 쌓아가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홈플러스의 이런 입장이 과연 지역에서 요구하는 정도를 충족시켜줄지 미지수다. 결정권 대부분은 본사에 있기 때문이다.

김윤필 대표는 “홈플러스의 횡포에 대해 여론도 그렇게 호의적이지 않을 것”이라며 “지역과 기업이 상생하는 모습을 보여줄 때까지 강력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해마다 주차장을 뜯어 고치는 홈플러스가 이번 참여연대의 대응에 대해 어떤 입장을 보일지 결과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