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보복행위 민간인 피해 전체 70.3%
경찰 보복행위 민간인 피해 전체 70.3%
  • 최인철
  • 승인 2009.12.24 09:42
  • 호수 3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순사건 당시 즉결처분 등 집단 학살

진실과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과거사위)는 한국전쟁 전후 광양지역 민간인 희생자가 최소 희생자가 563명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러나 여전히 발굴해 내지 못한 피해자가 훨씬 많을 것이라는 게 과거사위의 의견이어서 추가조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과거사위가 발표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관련 최종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광양지역 민간인 희생자는 최소 563명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남자가 528명으로 압도적이었고 여자는 35명으로 조사됐다. 희생자는 대부분 여순사건 당시 군경이 일시적 후퇴를 했다가 수복하는 과정에 빚어진 보복행위에 의해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의 연령별 비중은 20대 40.9%로 가장 많았고 30대 20.8% , 40대 13.3% 순이었다. 10대 피해도 10.7%를 차지했다. 직업은 농업이 74%를 차지해 피해자 대부분이 농민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여순사건과 한국전쟁을 전후해 광양지역에서 민간인 희생자가 컸던 것은 백운산을 비롯 험산이 집중돼 있고 여순사건의 잔존세력(구 빨치산)과 한국전쟁기의 인민군 잔존병력, 남로당 및 좌익세력들의 거점이라는 지정학적 원인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양읍 희생자가 컸는데 대표적 사건이 1949년 9월 16일 입산세력의 광양경찰서 습격 당시 습격에 대한 보복으로 수감 중이던 사상범 27명을 집단 처형한 사건이다. 또 군경이 남도당 좌익세력 색출을 위해 각 마을별 주민들을 색출해 반송쟁이 등지에서 집단 처형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했다. 이밖에 1951년 1월 14일 광양읍사무소 방화사건 당시 좌익 성향자나 가족, 편의제공자들을 색출하는 과정에서 집단 희생자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빨치산의 보급선을 차단하기 위한 군경의 무리한 동조세력을 색출하는 과정에서 피해자가 다수 발생했다. 빨치산과 접촉하는 이른 바 ‘라인’을 찾아내 사법절차 없이 즉결처분 행위가 빈번했다.

시기별로는 여순사건 발생 당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여순사건 당시 가구 1700호 총 9300여 명이 집을 잃고 강제 이주했을 만큼 피해가 컸다. 여순사건 피해자는 321명 전체 희생자의 57%를 차지해 다른 유형의 피해보다 훨씬 많았다.

한국전쟁 중에는 인민군 점령시기를 지나 2차 빨치산이 군경과 교전을 벌이던 과정에서 집중 발생했다. 그러나 그 수는 여순사건 당시에 비하면 크지 않은 특징을 갖는데 과거사위는 여순사건의 학습효과를 경험한 주민들의 신중한 대응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다는 분석을 제시했다.

광양지역의 민간인 학살은 대부분 경찰과 빨치산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경찰에 의한 학살이 전체 3분의 2를 차지했다. 그러나 다른 지역과는 달리 빨치산이나 인민군의 경우에는 민간인 피해는 거의 없었고 좌익 동조세력의 보복행위로 인한 민간인 피해도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