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당다운 강당 위해 1~2년 더 기다릴 수 있다”
“강당다운 강당 위해 1~2년 더 기다릴 수 있다”
  • 광양신문
  • 승인 2006.10.21 11:31
  • 호수 18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김태균 동광양중 운영위원장
“BTL 사업 도입기 시험대상이고 싶지는 않아”
도교육청에 올해 신축예정인 다목적강당 규모를 확대해달라고 요구한 동광양중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공식적인 결정을 끌어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김태균(45) 운영위원장은 도교육청으로부터 ‘수용불가'라는 답변서 공문을 받아든 지난 16일 꽤 흥분한 모습이었다. 지난해 12월 27일 도교육감에게 진정서를 제출한 뒤 내심 변화된 결정을 기대했지만 도교육청의 답은 요지부동이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을 만나 그간의 과정과 심정을 들어보았다.<편집자주>
   
▲ 김태균 동광양중학교 운영위원장.


▲다목적강당을 짓기 위해 학운위가 펼쳐온 그간의 노력은
다목적강당을 가지는 것은 우리학교의 오랜 숙원이었다. 2003년 학교운동장을 확장함에 따라 다목적강당을 건립할 수 있는 부지를 확보하게 됐다. 2004년 3월 광양교육청에 다목적강당을 건립해줄 것을 요청한 것을 시작으로 백방으로 노력했다.
2005년 3월에 다시 요청서를 내고 노력한 결과 지난해 8월 교육청이 BTL 사업방식으로 추진하는 사업대상학교로 선정됐다. 그러나 다목적강당을 가길 수 있게 됐다는 기쁨은 잠시였다. 그 규모가 우리의 바람과는 너무 동떨어졌기 때문이다.

▲동광양중이 요구한 규모는
우리 학교는 현재 30학급에 학생수가 1천명을 넘어섰다. 올해는 34학급으로 늘어나고 내년에는 36학급으로 늘어날 계획이다.
갑자기 학생수가 늘어남으로써 여러 가지 시설보완이 필요하다. 가장 필요한 것은 날씨와 관계없이 수업과 행사가 가능한 다목적강당을 갖는 것이었다. 다목적강당을 짓는 김에 우리는 수용규모가 200명에 불과해 큰 불편을 겪고 있는  학교급식시설을 보완하기를 바랐다. 그래서 다목적강당 1층에는 급식시설을, 2층에는 관람석을 갖춘 형태의 다목적강당을 지어달라고 요구했다. 여기에 필요한 예산은 16억원 정도로 보았다. 우리 학교에 가보면 누구나 우리의 이런 요구가 당연한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교육청은 BTL 사업방식으로 짓는다고 하면서 처음에 우리에게 전체면적이 777㎡, 예산은 9억3300만원이라고 통보해왔다.

▲도교육청은 본지에 학운위의 요구를 일부 수용해 65㎡를 늘린 842㎡로 조정했고, 1㎡당 102만원의 예산이 소요돼 6630만원을 증액했다고 확인해줬다
최근 개교계획이 확정된 30학급 규모의 백운중학교의 경우 다목적강당 규모가 1112.5㎡로 확정된 것으로 알고 있다. 2001년 개교한 인근 중동중학교는 현재 20학급에 769명인데 다목적강당 규모는 1166㎡이다.
그런데 왜 우리는 842㎡인가. 중동중학교도 전교생이 참여하는 행사를 할 때 강당이 좁아 학생들이 포개 앉는 수준이라고 한다. 이로 유추해 36학급에 1200명이 넘게 될 우리학교로서는 842㎡ 규모로는 턱없이 부족하지 않은가.
다목적강당의 목적은 학예회나 졸업식 입학식 등 전교생이 함께 참여하는 체육행사 등이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것인데 도교육청은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도교육청은 예산이 한정돼 어쩔 수 없다고 했다
예산이 부족하면 우리는 도교육청이 추가예산을 확보할 때까지 1~2년은 더 기다릴 준비가 돼 있다. 다목적강당은 한 번 지으면 최소한 수십 년 간 사용하게 된다.
앞으로 수 만 명의 학생들이 이용해야 한다. 처음 지을 때 제대로 짓지 않으면 안 된다. 도교육청은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수용하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우리가 결정했으니 너희는 무조건 따르라”는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행정이 이 정도 수준밖에 안 되는지 한탄스럽다.

▲현재로서는 학교의 요구가 수용되기 어려울 것 같다
우리는 포기하지 않고 전체 학부모들의 뜻을 모아 또 다른 방책을 찾아 나설 것이다. 우리 아이들에게 부족한 강당을 주는 그런 부모는 되고 싶지 않다. 이번 BTL 사업은 도교육청이 처음으로 시행하는 제도이다. 앞으로 시간이 흐르면 이런 문제는 개선될 수밖에 없다.
우리 학교가 제도 시행 초기의 시험대상이 되고 싶지는 않다. 이번 BTL 사업 대상 학교 중에 1천명이 넘는 학교는 우리 학교뿐이다. 다른 학교를 위해서라도 우리는 끝까지 우리의 요구를 관철할 것이다. 도교육청이 하루 빨리 자세를 바꿔 학교의 현실, 학교의 특성을 반영해주길 바란다.
 
 
입력 : 2006년 01월 19일